[독서일기] 이기적 유전자 (3장 - 불멸의 코일) <2편>
February.09.2020
[서론]
3장 1편에서는 유전자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어보았다. 유전자를 이루고 있는 것은 무엇이며, 그래서 이것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말이다. '유전자에 대한 설명'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나와 당신은 완전히 새로운 독립체이면서, 동시에 조상들의 유전자 조각들이 얽히고 섥힌 역사 그 자체다.
이번편은 개인적으로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줬다. 왜냐하면 요즘 리그 오브 레전드(lol)라는 게임을 즐겨하는데, 5 vs 5라는 AOS게임의 특성상 팀운탓을 늘 하고 있던 나의 모습을 반성하게 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밑의 본론을 참조해주시라.
[본론]
3장 - 불멸의 코일 <2편>
3.2-1 불멸의 유전자
유전자는 카드패에 섞인 트럼프 카드와 같다.
- 즉, 나의 유전자가 유성생식을 통해 쪼개지고 또 쪼개져도, 결국은 자손의 그 자손의 자손의 몸(생존 기계) 속 염색체에 섞여있다는 것이다.
- 도킨스는 개체와 집단을 유전자에 비해 오히려 작고 미세한 부분으로 묘사한다. 그 이유는 유전자의 생존력은 최소 1,000,000년 단위이지만 개체와 집단은 기껏해야 100년이기 때문이다.
- 유전자의 생존기간이 '무한'이 아닌 '약 100백만 년'이라고 정의 내린 이유는 '자연선택'에 있다. 즉, 아무리 유전자가 생존력이 높아도 결국 이를 결정하는 건 자연이 선택한다는 것이다.
<1> 유전자 - 이기주의의 기본 단위
[1] 생존 기계를 잘 만드는 유전자만이 살아남는다.
[2] 유전자 수준에서 이타주의는 나쁘고 이기주의는 좋다.
- 유전자의 이기주의는 필연적이다. 유성생식과정에서 조차 염색체들은 열등과 우등을 나누며 경쟁을 한다. 다음 생존 기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기 위해서다.
<2> 유전자의 협력 사업
[1] 비록 유전자는 이기적일지라도, 생존 기계를 만들 땐 수천의 유전자가 협력적이다.
<3> 조정 선수에의 비유
[1] 모순적이지 않는가? 유전자는 이기적이기도 하고, 협력적이기도 하다니...
- 위 사진 속 조정선수들은 각자의 위치마다 하는 역할이 다르며 노를 젓는 실력도 각각 다르다.
- 그렇기 때문에 감독은 각 선수들을 여러 팀으로 랜덤 하게 나누어 몇 주간 경쟁을 시킨다. (즉 이 몇주간 팀은 계속 바뀐다)
- 그러다 보면 이긴 팀에는 종종 동일 인물이 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우수선수로 기록된다.
- 그러나 때로는 잘하는 선수임에도 팀원이 안 좋거나 환경의 영향으로 뒤진 팀에 속해있을 수 있다.
- 하지만 도킨스는 말한다. 환경이나 행운 같은 요소는 그 자체로 랜덤 하기 때문에, 모든 상황은 사실상 '동일'했다.
- 즉 아무리 '사실은' 능력이 괜찮았던 뒤진 팀의 선수라도 결국 그 이유는 존재한다는 것이며, 나쁜 유전자로 개념화한다.
- 사실 조정선수의 경우, 강한 근육이나 유연성과 함께 중요한 것이 바로 '팀워크'이다.
- 아무리 나쁜 능력의 조정선수와 팀이 되어도 강한 팀워크와 협조성으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유전자도 동일하다. 아무리 나쁜 유전자가 존재해도, 협조적인 능력이 존재하면 그 유전자는 살아남고, 아니라면 사라진다.
[1] 비록 유전자는 이기적일지라도, 생존 기계를 만들 땐 수천의 유전자가 협력적이다.
- 다시 이 말로 돌아가면 이제 이해가 간다.
- 즉, 이기적인 것과 이타적인 것은 사실 모두 유전자가 생존하기 위한 '능력'이다.
<4> 토끼에의 비유
유전자가 비협력적이라면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건 무슨 말일까?
- 예를 들어 풀을 씹기 위한 평평한 어금니와 이를 소화시키기 위한 긴 창자를 가진 토끼가 어떤 '나쁜' 유전자로 인해 뾰족한 어금니를 갖게 되었다면, 이는 그 '나쁜'유전자의 초식동물이라는 생존 기계를 만드는 데 있어 '비협력'했기 때문에 그 토끼는 사라질 것이다.
[결론]
3장이 길어서인지 3편까지 이어진다. 이번 편도 매우 흥미로웠다.
(1) 유전자는 기본적으로 경쟁을 하며, 생존하기 위해선 이기적이 여야 한다. 그러므로 유전자는 이기적이다.
(2) 하지만 생존 기계를 만드는 데 있어선 이타적이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그 궁극적인 이유는 유전자의 생존과 직결하기에, 이는 이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4) 따라서 유전자는 이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