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_Penseur

[개념] 게임이론 (Game Theory)과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본문

경제(Economy)

[개념] 게임이론 (Game Theory)과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LePenseur 2020. 8. 28. 15:07
반응형

게임이론이란?

(1) 의사결정에 관한 학문

(2) 응용수학의 한 분야

 

게임이론이 답할 수 있는 철학적 물음

(1) 인간은 왜 이타적인가?
(2) 인간은 왜 협력적인가?

 

게임이론을 잘 표현한 '죄수의 딜레마' 

John Nash (1928-2015)

 

도둑A & 도둑B -> 둘다 은행에서 돈 훔침, 묵비권 약속후, 지킬 시 -> 각각 1년 징역 

조선비즈 - 조선일보

도둑A

 

(1) 도둑A 자백 -> 도둑A 무죄

(2) 도둑A 묵비권 행사, 도둑B 자백  -> 도둑 A 징역 20년

(2) 둘다 자백 -> 둘다 징역 5년

 

 

도둑B

(1) 도둑B 자백 -> 도둑B 무죄

(2) 도둑B 묵비권 행사, 도둑A 자백  -> 도둑B 징역 20년

(2) 둘다 자백 -> 둘다 징역 5년

 

어떤 선택을 할까?

(1) 천사파 - 항상 협력
(2) 막가파 - 항상 배반
(3) 정의파(tit for tat) - 일단 협력, 상대가 배반시 나도 배반, 상대가 협력시 나도 협력
(4) 사기꾼 - 정의파처럼 굴다가 마지막에 배신
(5) 파브로프 - 일단 협력, 유리할시 유지, 불리할시 변경
(6) 원한파 - 일단 협력, 상대가 배신할 시, 끝까지 불신
(7) 조폭파 - 천사파에게 배신, 정의파에 협력 (약강강약)
(8) 오리무중파 - 전략 없음, 임의 협력, 임의 배신

 

1980년대 실제 '죄수의 딜레마' 전략 대회 개최

그 결과, 라포포트(캐나다 수학자)가 제시한 '정의파' 전략 승리

정의파 교훈

1. 먼저 배반하지 않는다.
2. 대인이 되어라 (확실한 응징, 확실한 용서)
3. 자신의 전략을 노출시켜라.

 

위의 8가지 전략은 사실 인간에게 내포된 특성을 표현한것이다.

 

즉, 결론은 이렇다.

 

다른생명체들 사이에서 생존했을뿐아니라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는것은 이 8가지의 특징을 모두 갖춘 인간이라는 종의 경쟁력이라는 뜻이며 이는 진화의 산물이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