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_Penseur

[주식일기] 삼성을 향한 EU의 러브콜, 우리가 집중해야할 것 본문

개인(Personal)/주식(Stock)

[주식일기] 삼성을 향한 EU의 러브콜, 우리가 집중해야할 것

LePenseur 2021. 2. 12. 14:16
반응형

2021.02.12

 

 

 금일 블룸버그 뉴스에선 최첨단 반도체공장을 EU 자국내에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라고 보도했다.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그 투자 규모는 무려 67조원이다.

중요한점은 그 프로젝트에서 최우선적으로 언급되고있는 기업중 한곳이 바로 삼성전자라는 점이다.

삼성전자의 반도체공장을 EU국가내에 구축해준다면 삼성전자는 천문학적인 금액의 투자를 받을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각종 세금혜택부터 구축한 국가내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약속받는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현재 평택에 이미 공장1을 완공했으며 이후 공장2 증설까지 진행중에 있다. 그 규모는 무려 100억원에 달한다고한다.

즉 삼성전자의 현재 자금상황은 불충분한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넘치는것도 아닌상황이다.

 

 

또하나의 문제는 투자이후다. 반도체 공장을 추가로 증설한 이후, 흑자전환까지 할 수 있을만한 주문이 들어와야한다.

그러나 그 누구도 보장해주지않는것이 모든 사업의 현실이다.

 

 

그렇다고 가만히 손놓고 있는다면, TSMC가 EU의 러브콜을 받아들이고, 더욱 강한 경쟁자가 될 수 도 있는,

그야말로 딜레마의 상황에 놓여있다.

 

 

[본론]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이 내용에서 중요한건 "삼성전자가 딜레마에 빠졌구나"가 아니다.

우리가 집중해야할 것은 "EU가 약 70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반도체 산업'에 한다"이다.

 

EU는 왜 수십조원을 반도체산업에 투자하는것일까?

단순히 자국내 국민들을 위한 일자리를 공급하기위함은 아닐것이다.

 

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015&aid=0004498326&rankingType=RANKING

 

"삼성전자, 우리나라로"…전 세계서 쏟아지는 '러브콜'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우리나라에 투자하면 보조금과 세금 혜택을 주겠다." 한국 대표 기업 삼성전자에 세계 각 국 정부가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자국에 첨단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 조(兆) 단위 혜택을 주겠다는 것

news.naver.com

 

한국경제신문사 소속의 반도체 전문 기자 황정수님의 기사 내용에 의하면 

EU가 이렇게까지 투자를 하는 이유는 '자동차 산업에서 시작된 반도체 품귀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즉, 자동차에 필요한 반도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자동차? 반도체? 둘이 무슨 관계가 있는가? 

자동차는 굴러가는거고, 반도체는 컴퓨터에 쓰이는건데?

 

우리는 첫내용에서 언급했던, 다시 집중해봐야할 국가가 있다.

EU의 프랑스와 독일이 중심으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했다.

프랑스와 독일이 보유한 자동차 브랜드는 무엇이 있는가?

 

독일 자동차 브랜드
프랑스 자동차 브랜드

*국가별 자동차 브랜드 출처: blog.naver.com/eyeclon/220891573219

 

 두 국가의 자동차 브랜드 갯수를 합치면 무려 스무가지나된다.

그리고 그 브랜드들은 대부분 국내에서도 매우 유명한 브랜드들이 대부분이다.

즉 두 국가는 세계 자동차산업의 주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까지는 자동차는 '성능'과 '디자인'이 핵심 요소였다.

 

굴러가면 그만이다. 감성최고!

 

하지만 현재는 다르다. 자율주행자동차와 전기자동차 등. 자동차도 이제는 스마트해져야 살아남는것이다.

 

테슬라 모델S 내부

 

바로 그 증거가 이번 EU의 수십조원 규모의 반도체 투자 내용인것이다.

 

[결론]

 

반도체가 주도하는 미래 자동차의 모습 <아이티비즈뉴스>

 

앞으로도 자동차와 반도체는 뗄레야 뗄수없는 관계가 될 것이다.

그말은 반도체산업의 성장세는 지금도 충분히 보여주고있지만, 

그 상승세는 우리가 상상한것보다 더욱 지속될 것 으로 보인다.

반도체와 더불어, 전기차, 자율주행자동차, 차량내부 소프트웨어(SW)를 주목하자.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