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_Penseur
[독서일기] 이기적 유전자 (5장 - 공격-안정성과 이기적 기계) <2편> 본문
Fabruary.24.2020
[서론]
5장 1편에서 우리는 ESS의 개념에 대해 배웠다. 즉,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에 대해서 말이다.
무조건 한쪽만 우월하다고 할 수 없다는 걸 알게되었으며, 개체와 그 바깥 환경(자연뿐만 아니라 또다른 종 포함)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게되었다. 우리는 비둘기파와 매파 라는 두가지 대표적 특성만을 가지고 ESS를 계산하며 두가지 특성이 공존할 수 있는 비율을 알아보았는데,
이번편에선 그보다 좀 더 복잡해지는, 좀 더 현실성을 투입해보았을때 어떤 모습일지 알아보려한다!
5장 - 공격-안정성과 이기적 기계
[목차]
5.1 다른 생존 기계는 환경의 일부
<1> 형식적인 공격 행동
5.2 게임이론과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1> 매파와 비둘기파
<2> 보복자와 불량배
<3> 시뮬레이션과 실제
<4> 소모전
5.3 비대칭적 싸움
<1> 체구의 차이
<2> 순위제
<3> 같은 종끼리 또는 다른 종끼리
<4> ESS 개념
[본론]
5.2 게임이론과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2> 보복자와 불량배
- 보복자란 마치 리그오브레전드(League of Legends, NA)의 우디르라는 캐릭터와 동일한 특성을 보인다.
- 즉, 상대방이 매파처럼 굴면 그에 상응한 매파의 모습을, 비둘기파처럼 굴면 역시 동일한 비둘기파의 특성을 보인다.
- 이를 도킨스는 '조건부 전략자'라고 부른다.
- 조건부 전략자의 행동은 상대의 행동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 불량배란 마치 사우스파크(South Park)의 애릭 카트먼이라는 캐릭터와 동일한 특성을 보인다.
- 즉, 평소에는 매파처럼 상대방을 괴롭히고 악질의 행동을 보이지만, 막상 상대방이 반격을 하면 삼십육계 줄행랑을 친다.
- 매파, 비둘기파, 보복자, 불량배, 그리고 시험 보복자간의 전략 시뮬레이션을 시도한 결과는?
- 보복자의 RSS가 가장 높았다!
- (주관적 생각) 그렇다면 현실에서도 이를 적용한다면, 아마 삶의 지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 즉, 평소에는 상대방에게 악의없이 행동하지만 상대방이 나에게 나쁜짓을 한다면, 똑같이 되갚는 것이다.
<3> 시뮬레이션과 실제
- 하지만 시뮬레이션과 실제는 다르다고 도킨스는 지적한다.
- 예를들어 추운 지방에 서식하는 박새는 새끼를 위해 30초에 한번씩 먹이를 구해야한다.
- 만약 '매파'처럼 행동한다면 박새는 새끼를 위해 먹이를 구할 수 없으며, 이는 번식 실패라는 큰 손해를 초래한다.
- 현실에서도 그런 것 같다. 아무리 상대방이 나에게 나쁜 행동을 했다고 해도, 이를 되갚는 행동을 취하면, 또다른 피해가 올 수 있다.
- 아직 읽지는 않았지만, 스야오엔의 '내 편이 아니라도 적을 만들지 마라'라는 책의 내용도 이와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는 듯 하다.
<4> 소모전
- 소모전이란 위험한 싸움을 하지않는, 보통 갑옷을 두른 종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전쟁 전략이다.
- 위협적인 자세를 취하지만, 공격을 하지는 않는다 (다치지 않는걸 알기 때문이다)
- 따라서 먼저 물러서는 개체가 패배한다.
- 이와 같은 소모전에서는 '내가 포기하려는 것을 상대가 눈치채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예를 들어 수염을 움직이는 행위가 '1분내로 포기한다'라는 신호라면, 상대는 눈치를 채 1분이상만 버티면 된다.
- 즉, 나의 상태를 상대에게 들키면 안된다는 것이다. 도킨스는 이를 '포커페이스'라고 칭한다.
- 거짓말은 RSS가 되기힘들다.
- 예를 들어 목털을 세우는 행위가 '장기간 소모전을 이어나갈 것이다.'라는 신호라면, 이는 단기간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 즉, 나는 그럴 의도가 없지만 목털을 세우므로써 상대에게 이길 수 있기에, 거짓말이라는 좋은 전략이 생긴 것 이다.
- 하지만 이러한 개체가 늘어날수록 이에 상응하는 개체도 생긴다. 거짓말을 치는 상대를 알아보고 승패가 뒤바뀐다는 것이다.
- 따라서 거짓말보다는 포커페이스가 장기간 유리하다.
- 포커페이스는 예측 불가능한 RSS다.
[결론]
이번 편을 통해 우리는 게임이론과 RSS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대표적 5가지 특성과 이들의 장단점, 그리고 RSS가 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는 '보복자'라는 것. 하지만 이는 단순한 시뮬레이션일 뿐! 실제 세상에 대입했을땐 여러가지 변수들로 인해 그 결과가 다를 수 있다. 또 마지막으로는 나의 패를 상대에게 들키지 않는것이 좋은 이유를 알아보았다.
'개인(Personal) > 독서(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일기] '부의 추월차선'을 위해 '마케터처럼 살아라' (2) | 2022.01.22 |
---|---|
[독서일기] 데미안, 새는 알에서 나오기 위해 투쟁한다. (0) | 2021.10.05 |
[독서일기] 이기적 유전자 (5장 - 공격-안정성과 이기적 기계) <1편> (0) | 2021.02.22 |
[독서일기] 이기적 유전자 (4장 - 유전자 기계) <3편> (0) | 2021.02.16 |
[독서일기] 이기적 유전자 (4장 - 유전자 기계) <2편> (0) | 2021.02.15 |